Server & Network24 [AWS] 로드벨런서(Load Balancer) - ALB, NLB 이전 [ 로드벨런서의 리스너 설정 ] 포스트(https://log4day.tistory.com/33?category=1038764)에서 ALB와 NLB에 관련된 내용이 있었다. 이와 관련해 로드벨런서에서 ALB와 NLB의 차이점과 특징을 조금 더 상세히 정리해보았다. 로드벨런서(Load Balancer) 로드밸런서는 서버에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장치다. 부하 분산이라고 하여, 서버에 네트워크 또는 애플리케이션 트래픽이 쏠리지 않게 관리해준다. 로드벨런서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둘 이상의 서버를 묶어 사용자로부터 들어오는 요청을 중간에서 분산 처리한다. 쉽게 말해, 서버와 사용자 사이의 중간 다리로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로드벨런서는 일반적으로 Layer 4 계층 Layer 7 계층 두 가지.. 2022. 5. 8. [Linux] 디스크 IOPS 측정 - FIO 이번 포스트에서는 IOPS에 대한 개념과 Linux에서 사용할 수 있는 IOPS 측정 툴 FIO의 사용 가이드를 정리한다. FIO 설치 방법과 실행 명령어 예시를 공유한다. IOPS (Input/Output Operations Per Second) 란? IOPS는 HDD, SDD와 같은 하드 디스크의 파일 입출력 속도를 나타내다. Input/Output Operations Per Second의 약자로 초당 어느 정도의 입출력 사양을 보여주는지 나타내는 단위로서 사용된다. 데이터 입출력 값은 CPU, RAM 사양에도 영향을 받지만, 하드 디스크에 저장되는 데이터 트래픽이 무겁다면 이 IOPS 성능에 따라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이 결정된다고 말할 수 있다. FIO 설치 찾아보면 다양한 방법이 보이겠.. 2022. 5. 2. [AWS] CI/CD 구성(3) - 배포 CodeDeploy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2. 4. 30. [AWS] CI/CD 구성(2) - 소스 빌드 CodeBuild AWS 콘솔 환경에서 자동 배포하는 방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AWS에서는 소스 코드 관리부터 빌드, 배포를 비롯해 이 과정을 하나의 파이프라인으로 묶어 관리할 수 있는 CI/CD 서비스를 제공한다. 각 단계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Github와 같이 소스 코드의 저장 및 버전 관리를 도와주는 CodeCommit, 소스 코드 빌드를 도와주는 CodeBuild, 빌드된 파일을 서버에 배포하는 CodeBuild, 마지막으로 위 3 단계를 하나로 묶어주는 Pipeline이 있다. 지난 포스트에서는 위 개념 중 소스 저장소 CodeCommit에 대해 알아보았다( 링크 : https://log4day.tistory.com/41?category=1038764 ). 이번 포스트에서는 소스 저장소에서 코드를 읽어와 빌.. 2022. 4. 29.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