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65 [Apache] 아파치 실행, 상태 확인, 에러, 디버깅 Ubuntu 서버 기준, Apache2 실행과 관련 내용을 짧게 정리한다. 실행 관련 명령어 아파치 실행은 service, systemctl, apachectl, init.d 등 여러 방법이 있지만, 이번 포스트는 systemctl 기준으로 작성했다. # 시작 (Start) sudo systemctl start apache2.service # 종료 (Stop) sudo systemctl stop apache2.service # 재시작 (Stop -> Start) sudo systemctl restart apache2.service 설정 적용 명령어 아파치 관련 설정은 /etc/apache2 혹은 /etc/apache2/sites-available 경로의 설정 파일(.conf)에서 수정할 수 있다. 보.. 2022. 6. 26. [Java & Tomcat] Port already in use 에러 IntelliJ 같은 코드 에디터에서 내장 Tomcat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때 포트가 중복될 때 발생하는 에러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때, 동일한 포트로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있을 때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Tomcat은 8080, 8005, 1099 포트를 디폴트로 사용하기 때문에 VM 실행 옵션에서 따로 지정해주지 않으면 해당 에러를 접할 수 있다. 문제는 분명 기존에 실행중이던 앱을 종료하고, 심지어 코드 에디터를 닫았음에도 여전히 프로세스가 실행 중인 경우다. 사용 중인 PC를 재부팅해서 해결하는 방법도 있지만, 제일 좋은 방법은 충돌이 발생한 포트를 터미널에서 직접 종료(kill)해버리는 것이다. 아래에 에러 로그와 포트 종료(kill) 명령어를 적어두었으니 참고하자. (참고로, 종료 .. 2022. 6. 26. [AWS] 로드벨런서(Load Balancer) - ALB, NLB 이전 [ 로드벨런서의 리스너 설정 ] 포스트(https://log4day.tistory.com/33?category=1038764)에서 ALB와 NLB에 관련된 내용이 있었다. 이와 관련해 로드벨런서에서 ALB와 NLB의 차이점과 특징을 조금 더 상세히 정리해보았다. 로드벨런서(Load Balancer) 로드밸런서는 서버에 트래픽을 분산시키는 장치다. 부하 분산이라고 하여, 서버에 네트워크 또는 애플리케이션 트래픽이 쏠리지 않게 관리해준다. 로드벨런서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둘 이상의 서버를 묶어 사용자로부터 들어오는 요청을 중간에서 분산 처리한다. 쉽게 말해, 서버와 사용자 사이의 중간 다리로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로드벨런서는 일반적으로 Layer 4 계층 Layer 7 계층 두 가지.. 2022. 5. 8. [MySQL] MySQL 설치 및 파라미터 그룹 설정(mysql.cnf) 오늘은 Ubuntu 환경에서 MySQL 설치 및 DB 파라미터 그룹 변경 방법에 대해 정리한다. CLI 명령어로 서버에 MySQL을 설치하고, 외부 접근을 위한 방화벽 설정 방법을 알아본다. 추가로 DB와 관련된 사용자설정값을 지정하는 방법을 공유한다. 1. MySQL 설치 및 외부 접근 허용 설정 DB 설치는 ubuntu apt-get 패키지 관리자로 진행한다. 최신 패키지 소스를 다운받기 위한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mysql-server를 다운로드한다. # 패키지 관리자 업데이트 sudo apt-get update # MySQL 설치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설치가 완료되면, 로컬 환경에서 DataGrip, Workbench와 같은 DBMS 툴 접근을 열어주기 위.. 2022. 5. 3. 이전 1 2 3 4 5 6 7 ··· 17 다음